SPRING :: NOTE
VLC library를 이용하던 도중, Rasberry Pi에서 송신하는 RTSP 프로토콜을 받던 도중 화면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며, 검은화면 및 딜레이가 심하는 현상이 생김. Wi-Fi로 AP물려 테스트할 때는 정상적이었으나, Rasberry Pi를 연동하여 RF 통신모듈에서 영상을 받을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 문제를 가지고 하루정도 고민해봤는데 - 상용 VLC Player도 똑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 - 팟플레이어는 정상적인 스트리밍을 한다는것을 확인. - 팟플레이어가 정상적인것은, VLC 라이브러리도 RTSP 설정을 통해 가능하다는것을 의미하는듯. - VLC 옵션을 이것저것 살피던 도중 RTSP 옵션을 발견 - Live555 Stream Transport의 RTSP 설정..
라즈베리파이 이더넷이 왜 안되는지 모르겠다. 몰라가지고 인터넷에 아무거나 찾아서 써봤더니 된다. sudo ip route delete default
프로젝트가 있어서 할 줄 모르는 라즈베리파이를 어쩔 수 없이 써봤다. 라즈베리의 RTSP 서버가 필요하여, 검색했더니 많이 사용하고있어서 그 내용을 정리할 겸 포스팅을 남긴다. 라즈베리파이 업데이트 pi@raspberrypi:~ $sudo apt-get update pi@raspberrypi:~ $sudo apt-get upgrade #커널을 건드려 펌웨어가 망가질 수 있으니 주의! 완료 후, 필요한 유틸리티 설치 pi@raspberrypi:~ $sudo apt-get install v4l-utils pi@raspberrypi:~ $sudo modprobe bcm2835-v4l2 bcm2835-v4l2를 사용하기 위해, 모듈 등록 pi@raspberrypi:~ $sudo nano /etc/modules ..
아래의 함수를 추가하며, 파라미터 값에 VideoPicture에서 들어온 capture data를 cv::mat에 copy한다. copy된 cv::mat을 인자값으로 넣어주며, m_GstView가 Picture Controll 또는 Static Controll의 멤버변수이다. void CGStreamerExDlg::DisplayVideo(Mat frame) { // m_CamMinX, m_CamMinY, m_CamMaxX, m_CamMaxY, //화면에 보여주기 위한 처리입니다. int bpp = 8 * frame.elemSize(); assert((bpp == 8 || bpp == 24 || bpp == 32)); int padding = 0; //32 bit image is always DWORD a..
on_pad_added Function 추가 static void on_pad_added(GstElement *element, GstPad *pad, gpointer data) { TRACE("Pad added"); GstElement *decodebin = static_cast(data); GstPad *sink_pad = gst_element_get_static_pad(decodebin, "sink"); if (gst_pad_is_linked(sink_pad)) { TRACE("Already linked ignore1"); return; } auto ret = gst_pad_link(pad, sink_pad); TRACE("Link pad" + GST_PAD_LINK_FAILED(ret)); } on..
Emulator: emulator: ERROR: x86 emulation currently requires hardware acceleration! Emulator: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윈도우를 재설치 한 후 안드로이드 AVD를 실행하였는데, 실행이 안되며 위와 같이 오류를 뿜을 때[제어판]->[프로그램 및 기능]->[Windows 기능 켜기/끄기]->[Windows 하이퍼바이저 플랫폼]체크 후 설치 재부팅
이 가이드는 같은 네트워크(AP)에 PC와 Android device가 연결 되어있는 상태에서 작동함. 1. USB를 연결한 상태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뮬레이터도 종료) consol 모드 진입.2. adb는 환경변수로 등록되어있다는 가정하에 진행(검색해보면 나옴) => 링크3. 콘솔에 [adb devices] 입력 후 엔터를 치면 현재 PC에 연결되있는 Android 기기가 뜸이때 꼭 한개의 device가 있어야 함.4. USB 연결상태로 [adb tcpip 2050] 커멘드를 주고 엔터2050은 android device에서 원격제어 시, 제어 할 포트 번호5. 콘솔에 restarting in TCP mode port:2050 이라는 메시지가 뜨면 세팅 완료.6. android device와 USB..
안드로이드 레이아웃을 투명화 하는 작업 중 나타난 오류때문에 몇시간을 낭비했다.인터넷에 널리고 널린 소스는 Manifast.xml에 Style에서 추가 한 사용자 테마를 넣는건데죈종일 아래와 같은 오류만 뿜어댔다. You need to use a Theme.AppCompat theme (or descendant) with this activity결론적으로는... AppCompatActivity 써서 나는 오류였다.Style.xml에서 Theme 새로 생성할 때 Parent에 AppComat을 받아 만들면 에러가 안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