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409)
SPRING :: NOT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bY4p/btr0KRo4OCr/xkiojVCMLMKi5LM5YVzzAk/img.png)
공간정보가 포함된 geotiff파일은 일반적으로 후처리 결과로 많이 출력된다. 이 geotiff파일은 이미지 파일 내 메타데이터가 있다. 메타데이터에는 좌표계, 좌표값 등 GIS에서 활용되는 많은 데이터가 파일 내에 포함되어있다. 이 geotiff 이미지 파일을 무심코 포토샵으로 수정하면, 메타데이터가 전부 사라져 좌표값을 잃게 된다. 이런 이유로 geotiff파일을 포토샵 같은 일반적인 어플리케이션이 아닌 GIS 정보를 유지하며 잘라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1. QGIS를 실행시켜 geotiff파일 load 2. 잘라낼 크기와 형태에 맞는 폴리곤 레이어 생성 상단 네비게이션에서 다음과 같이 이동. [레이어] - [레이어 추가] - [새 shapefile 레이어] 아래와 같은 '새 shapefil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Lxqu/btrRT5urmPA/UfygrsnntF5H04dl5lvDD1/img.png)
Caused by: com.android.builder.errors.EvalIssueException: Configuration `debugRuntimeClasspath` contains AndroidX dependencies, but the `android.useAndroidX` property is not enabled, which may cause runtime issues.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업데이트 하고 나서 위와 같이 에러가 남. 다음 두 줄을 'gradle.properties'에 추가 android.useAndroidX=true android.enableJetifier=true 빌드완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47G9/btrOQtf3PQx/u2BaiynnzTWLTtB7QG4XBK/img.png)
다음 명령어로 WSL2의 내컴퓨터 로컬 C:를 볼 수 있다. > Cd mnt/c 다음 경로를 윈도우 탐색기에 입력하면, RED HAT 파일시스템을 확인이 가능하다. 파일을 주고 받을수도 있다. \\wsl$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CzvlV/btrO4pKKTKX/wSKmEnxymGO4hlKd0jFrk1/img.jpg)
Redhat을 사용하기위해 서브스크립션을 등록한다. 개발 시, 필요한 프로그램이 많은데, 로그인을 해야지 사용할 수 있는 개발 툴이 있다.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 서브스크립션을 등록한다. 원래 레드햇은 유료로 사용하며, 무료로 사용할 시 CentOS를 사용했다. (내 기억에 학교다닐 때, 리눅스 수업에서 레드햇을 못쓰고 CentOS를 사용했다.) 하지만 2021년 CentOS가 지원을 종료하게 됐고, 레드햇은 개발자를 위해 무료로 16개 호스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서브스크립션을 배포했다. 사실 어디서 등록이 되었는지 기억이 안난다. 그냥 링크 타고타고 다니며 로그인하고 확인만 눌렀더니 등록이 되었다. 아마 내 기억이 맞다면 다음 링크로 들어간다. 레드햇 공식 사이트 기사 Red Hat Developer P..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ThTF/btrO9PvfHie/FAM9WoIDlQE94lZTkKBte1/img.jpg)
본 글은 Windows Subsystem Linux 2(WSL2)를 설치하기 위한 과정이며, Windows10을 기준으로 작성하였다. 1. Windows 최신버전 업데이트 윈도우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해야한다. WSL2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툴로 최신 WSL2를 설치하기 위하여, 윈도우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한다. 2.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및 가상 머신 플랫폼 설치 [리눅스용 윈도우 하위 시스템 설치]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이동한다. 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다음 두개의 기능을 켜고 확인을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 가상 머신 플랫폼 확인을 누르면, Windows 기능 창이 열리며, 두개의 기능을 설치한..